8월, 2023의 게시물 표시

배움을 계속해야 하는 이유

지식도 낡는다 내 방 책장에는 수십 권의 책이 꽂혀 있다. 물론 다 최신 책은 아니고 절반은 오래된 책이다. 내 방에 있는 책을 보면 어떤 분야의 책은 이제 필요없어서 버려야 될 책들도 많고, 어떤 분야의 책들은 지금과 사실 별다른게 없어 그대로 봐도 될 책들이 있다. 예를 들면 첫째로, 영어 책이다. 영어 책은 내용이 변한게 없기 때문에 굳이 최신 책으로 사지 않아도 된다. 영어문법, 영단어, 영어독해 책 같은 경우는 예전에 사 놓은 책이 있다면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다만, 영어독해는 최신 지문과 다양한 내용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독해 지문이 다른거나 최신 지문이 담긴 책을 추가로 더 구매해도 좋을 것 같다. 영어회화 책도 예전 구입한 책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최신 대화 내용이나 최신 유행어나 최신 단어 등을 포함한 책을 추가로 구매해도 좋을 것 같다. 둘째로 요리 책이다. 요리 분야의 책은 예전에 구입한 책들을 그대로 보면 된다. 다만 요즘 유행하는 요리나 레시피 등이 계속 나오기 때문에 추가로 책을 구매하면 될 것이다. 요즘은 먹방의 시대이기에 티비나 유튜브에서 재료들을 이용해서 새로운 메뉴를 계속 보여주기 때문에 인기 있는 메뉴를 만들어 보고 싶다면 새로운 책이 필요할 것이다. 요즘은 특히 디저트 가 인기가 많다. 제과 나 제빵, 커피, 음료 등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할 만큼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그 예로 커피 가게들이 굉장히 많다. 프랜차이즈 커피 가게나 개인 커피 가게 포함해서 말이다. 빵집도 예전보다 더 많아 졌다. 예전에는 개인 빵집과 파리바게뜨나 뚜레쥬르 같은 프랜차이즈 빵집이 주를 이뤘다면 요즘에는 엄청나게 넓은 규모의 대형 베이커리 카페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인스타그램 감성에 맞게 넓은 공간에 커피와 빵 또는 케이크를 먹을 수 있고, 창 너머로 인스타그램에 담을 만한 바다 뷰나 푸른 정원 뷰를 가지고 있는 대형 베이커리 카페가 인스타그램 피드에 자주 올라온다. 반대로 이제는 내용이 현재와 많이 바뀌거나 ...

결국 족발과 피자 맛집은 아니었다.

족발 네이버 앱에는 메일이나 네이버 페이 주문 소식 확인 때문에 종종 들어간다. 네이버 앱에 들어가면 자연스럽게 이웃소식 이나 지역카페 인기글에 눈이 가게 된다. 그래서 거기에 글들을 둘러본다. 그중에서도 음식, 맛집 관련 글과 사진을 주로 보는 편이다. 예전에 '족발 맛집 추천해주세요' 와 같은 글에서 봤던 추천 맛집 중 한 곳을 누군가 리뷰를 했다. 먹음직스러운 족발 사진과 실제로 먹어보니 족발, 쟁반국수, 무김치까지 다 맛있었다는 글이었다. 댓글에도 이미 먹어본 분들이 맛있다고 맞장구 쳐주는 댓글까지 달렸었다. 그래서 눈에 익은 족발집 이름이었다. 그리고 매달 집으로 오는 음식점 책자에도 나온 집이어서 이번에 먹으려고 주문 전화를 걸었는데 12시에 전화했는데 지금은 준비중이라 안된다고 3시에 오픈한다고 그 때 다시 전화해 달라고 하였다. 이상했다. 네이버에 가게명을 검색해봤는데 영업시간은 12시로 되어 있는데, 오후 3시에 영업시작이라니 한참을 기다려야 했다. 사실 이때 불길한 생각이 들었었다. 꼭 뭔가 시작이 순조롭지 못하면 결과까지 그렇게 되곤 했던게 한두 번이 아니었던 탓에 그런 느낌이 들었으리라. 3시가 되어 주문을 했고, 30분쯤 지나자 배달이 와서 기대반 불안반으로 족발을 먹어보았다. 족발이 입에 들어간 순간 따뜻했다. 거의 가게 영업 시작하자마자 주문해서 안식히고 바로 가져왔나보다. 따뜻한 족발부터 내가 원한 족발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번에는 무김치를 먹었다. 무김치가 이전에 다른 족발집에서 먹었던 무김치와는 맛이 너무 달랐다. 양념만 빨갛고 맛은 밍밍하면서 씁쓸한 무맛이 느껴졌다. 당연히 족발과 같이 먹기에 전혀 어울리지 않았다. 족발만 먹기엔 느끼하니까 새콤매콤한 무김치를 같이 먹는건데 이건 영 아니었다. 같이 온 다른 소스들도 있었는데 족발과 먹기에 그다지 어울리지 않았다. 역시 족발엔 무김치가 딱인데, 그 무김치 자체가 맛이 별로니 족발과 같이 먹을만한 게 없었다. 그래도 쟁반국수는 먹을만했다. 예전에 다른 ...

내가 책을 잘 안사게 된 이유

점점 더 비싸지는 책 값 예전과 다르게 책 가격이 많이 올랐다. 200페이지 분량의 책도 가격이 15000원 정도나 받는다. 300페이지 미만의 책들은 가격이 보통 17000원 정도 된다. 내가 아는 책들 중에 제일 가격도 저렴하면서 페이지 수도 꽤 많은 책은 마더텅 출판사의 책들이다. '2024 수능대비 수능 내신 한 권에 끝내는 고교 국어 문법 500제' 책의 경우 11610원에 544 페이지나 된다. 또한 '마더텅 영문법 3800제 3'의 경우 13410원에 616페이지나 된다. 이렇게나 가성비가 좋은 책들이 많다. 물론 단점은 다른 책들에 비해 종이가 얇다는 것이다. 얇은 종이의 재질 덕분에 책 값이 저렴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마더텅 출판사와 같이 저럼하면서 가성비 좋은 수능 대비 수험서를 판매하는 수경출판사가 있다. 이 출판사는 자이스토리라는 이름으로 수능 대비 수험서를 출판하고 있다. 마더텅 출판사와 같이 가성비 좋은 책들이 많다. '2024 수능대비 자이스토리 영어 독해 실전' 책의 경우 18450원에 824 페이지 분량이다. '2024 수능대비 자이스토리 수능 국어 문학 실전'의 경우 19350원에 1088 페이지 분량이다. 자이스토리 책들의 경우 책의 가격이 마더텅 출판사 보다는 비싼 편이다. 2023년에 출판된 책들 기준으로 보면 17000원에서 19000원 사이의 가격이다. 마더텅 출판사의 책보다 가격이 대부분 비싼 이유는 종이의 재질 때문이 아닐까 한다. 마더텅 책이 너무 종이가 얇았다면 자이스토리는 보통의 재질로 책을 보거나 넘기는데 불편함이 없다. 이렇게 가성비 좋은 수능 책을 다루는 출판사 2곳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와 반대로 공무원 수험서는 가격이 너무 비싸다. 이제 공무원 과목별 기본서 가격이 4만원대로 자리를 잡았다. 주로 4만원 중반에서 후반대의 가격이 기본이고, 최근 5만원이 넘는 가격대의 수험서도 많이 보이며, 6만원대의 책도 보이기 시작했다. 물론 4만원...